비밀번호

좋은땅 출판사,,나답게 사는 행복 - 빛고을신문

  • 흐림속초14.4비북춘천14.1흐림철원14.2흐림동두천13.5흐림파주13.6흐림대관령11.5흐림춘천14.1비백령도11.9비북강릉16.0흐림강릉16.1흐림동해16.5비서울14.6비인천14.5흐림원주14.7비울릉도15.5비수원14.5흐림영월13.5흐림충주14.1흐림서산13.3흐림울진13.6비청주13.9비대전13.3흐림추풍령11.3비안동13.4흐림상주12.3비포항13.3흐림군산13.2비대구13.2비전주15.4비울산14.9비창원15.6비광주16.2비부산15.4흐림통영15.4비목포16.0비여수14.9비흑산도13.7흐림완도15.4흐림고창15.5흐림순천13.7비홍성13.8흐림서청주14.1비제주20.4흐림고산18.2흐림성산18.3비서귀포19.3흐림진주13.1흐림강화13.7흐림양평14.4흐림이천14.0흐림인제12.8흐림홍천13.3흐림태백13.1흐림정선군11.9흐림제천12.7흐림보은13.9흐림천안13.8흐림보령14.2흐림부여13.5흐림금산13.8흐림세종13.5흐림부안15.1흐림임실15.5흐림정읍흐림남원15.3흐림장수15.0흐림고창군16.7흐림영광군16.2흐림김해시15.1흐림순창군15.5흐림북창원16.1흐림양산시15.9흐림보성군15.8흐림강진군15.9흐림장흥16.5흐림해남16.9흐림고흥15.8흐림의령군14.1흐림함양군13.6흐림광양시14.3흐림진도군16.9흐림봉화13.0흐림영주12.0흐림문경12.5흐림청송군12.6흐림영덕12.8흐림의성13.9흐림구미13.0흐림영천13.9흐림경주시12.6흐림거창13.2흐림합천12.9흐림밀양14.1흐림산청13.6흐림거제15.4흐림남해15.3비북부산16.4
  • 2025.05.09(금)

일상&문화가볼만한곳.책.문화

좋은땅 출판사,,나답게 사는 행복

희로애락을 다스리는 도덕경의 지혜
저자:진경수, 출판:좋은땅, 발행:2024.03.19.

 

350a91b1-0d8a-4d45-b54a-32a3dfadca63.jpg



노자의 《도덕경》을 바탕으로 희로애락을 다스리고 나답게 살아가는 행복을 찾아가는 책이다. 기쁨, 성냄, 슬픔, 즐거움 4가지 감정을 테마로 각각의 감정을 슬기롭게 다스리는 방법을 논한다. “감관의 자연스러운 여닫음에 마음이 휘둘리지 않게 할 수 있는가?”라는 말처럼 감정은 외부 세계와 소통하며 일어나는 자연스럽고, 일시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감정 하나하나에 연연할 필요가 없으며 내 마음을 들여다보며 나다움을 찾아가야 한다.

- 외부의 유혹과 욕심에 휘둘리지 않고 나답게 사는 행복

우리가 느끼는 희로애락(喜怒哀樂)은 감정과 경험의 다양한 측면을 나타내는 개념들이다. 이를 잘 다스린다면, 정서적인 안정과 웰빙을 유지하고 행복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다.

《나답게 사는 행복》에서는 희로애락을 다스리고 나다움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파한다. 여기에서 등장하는 것이 노자의 《도덕경》이다. 저자는 《도덕경》을 만나 새로운 인생을 만났다. 희로애락을 적절히 다루지 못해 과욕을 부리기도 하고 뼈저린 실수를 하기도 하였다. 무엇보다 감정에 휘둘리다 보니 마음이 평안할 날이 없었다. 하지만 《도덕경》을 통해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감정이란 대개 찰나에 지나가는 것임을 인식함으로써 감정의 굴곡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책은 우리가 느끼는 기쁨, 화, 슬픔, 즐거움 네 가지 감정을 테마로 하여 각 감정을 극복하는 방법들을 제시한다. 기쁨은 긍정적인 에너지가 생기고 스트레스가 감소하며 행복감이 증진된다. 다만 올바른 것을 기뻐하고 지족하는 마음을 가져야 진정한 기쁨이라 할 수 있다. 성냄은 우리가 가장 다루기 어려운 감정이다. 마땅히 화를 내야 할 일도 있지만 대부분은 후회를 불러오는 것들이다. 사소한 것은 보아 넘기는 관용을 가지고, 화를 불러오는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자세를 가진다면 성난 마음을 가라앉힐 수 있다. 슬픔은 무조건 억누를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표현하고, 후에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전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즐거움은 단계적 목표 실천, 함께하는 삶 누리기 등 ‘칠법’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도덕경》에서는 “감관의 자연스러운 여닫음에 마음이 휘둘리지 않게 할 수 있는가?”라고 하였다. 인간은 감각기관을 통해 외부세상과 소통하며 다양한 감정을 느낀다. 그러나 이것들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외물이 잠시 들렀다 가는 것이므로 일희일비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얻은 것도 잃은 것도 없으니 기쁨도 성냄도 슬픔도 즐거움도 하나같다. 그것들이 잠시 들어오면 왔구나 하고 응하고, 떠나가면 떠나는구나 하고 인식할 뿐 먼저 나서서 마중하고 배웅하질 않는다. 이러한 마음가짐을 가지면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것들에 대한 욕망을 삼가고, 연꽃잎에 구르는 물방울처럼 미혹되지 않을 수 있다.

주어진 환경 속에서 목인석심(木人石心, 의지가 굳어 어떠한 유혹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사람을 일컬음)의 자세로 내 마음자리가 동요하지 않고 살아감으로써 ‘나답게 사는 행복’에 가까워지는 것이다.

목차
Prologue - 나답게 사는 행복으로 들어가는 이야기

기쁨(喜) 편
기쁨이란 무엇일까?
기쁨이라고 다 같은 기쁨일까?
잘못된 기쁨 속에서 행복할 수 있을까?
올곧은 기쁨은 지족에서 시작된다
생각을 바꾸면 지족하는 마음이 보인다
자신의 가치와 존엄을 지키면 지족에 다가선다
잠시 멈추면 올곧은 기쁨을 누린다
더하는 삶보다 덜어 내는 삶이 기쁨이다
도타운 사랑의 밑절미로 올곧은 기쁨을 누린다

성냄(怒) 편
성냄은 독약이고, 죄악이며, 실패다
성냄이 어쩔 수 없을 때도 있다
성냄은 성내지 않은 것만 못하다
내 마음을 바로 보면 화가 보인다
시절 인연이라 그러려니 하다
물처럼 사는 것이 양심적인 삶이다
물을 생각하고 물처럼 행동한다
화근을 만들지 않는다
화를 억누르지 말고 다스리자

슬픔(哀) 편
슬픔은 신체와 정서에 영향을 끼친다
슬픈 감정을 인정하고 나를 바로 본다
슬픔을 표현하면 말없이 들어 준다
자기 연민으로 슬픔을 다스린다
단계적 목표로 슬픔을 이겨 낸다
마음 챙김으로 마음을 안정시킨다
감사한 마음이 위없는 행복이다
긍정적인 생각이 만병통치약이다
‘삼잘’이 답이다

즐거움(樂) 편
좋아한다는 것이 즐기는 것일까?
10대 전략으로 일을 즐긴다
즐거움을 다루는 ‘칠법’을 시작한다
함께하는 삶을 누린다
나를 기쁘게 하는 활동을 한다
현재의 지금에 집중하고 즐긴다
스스로 그러함과 함께 즐긴다
나에게도 남에게도 베풀며 산다
나를 아끼고 사랑하며 돌본다

Epilogue - 나답게 사는 행복 누리기
진경수의 山 이야기 - 사방으로 막힘없는 능선의 파노라마 조망, ‘감악산’
 
자료참조:네이버도서, 편집:빛고을신문
검색결과는 총 60건 입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