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전남산림연구원, 나무심기로 경관숲 조성 - 빛고을신문

  • 맑음속초9.2맑음북춘천15.9맑음철원14.4맑음동두천15.0맑음파주13.6맑음대관령4.5맑음춘천16.2맑음백령도8.4맑음북강릉9.6구름많음강릉10.7구름조금동해11.0맑음서울15.7맑음인천14.1맑음원주15.2구름많음울릉도8.4맑음수원12.3구름조금영월14.5맑음충주14.6맑음서산10.8맑음울진12.9맑음청주15.3맑음대전15.0맑음추풍령15.3맑음안동16.1맑음상주16.2맑음포항15.4맑음군산10.2맑음대구18.8맑음전주11.4맑음울산19.0맑음창원18.9맑음광주13.7맑음부산19.3맑음통영18.2맑음목포11.6맑음여수17.8맑음흑산도10.1맑음완도13.5맑음고창10.2맑음순천14.1맑음홍성12.9맑음서청주14.5맑음제주14.0맑음고산12.8맑음성산13.5맑음서귀포20.6맑음진주17.7맑음강화13.9맑음양평16.5맑음이천14.6맑음인제10.8맑음홍천16.4맑음태백8.4맑음정선군11.3맑음제천14.7맑음보은14.4맑음천안13.3맑음보령9.1맑음부여12.7맑음금산14.0맑음세종13.5맑음부안10.6맑음임실11.6맑음정읍10.7맑음남원13.5맑음장수12.1맑음고창군10.5맑음영광군11.0맑음김해시20.1맑음순창군13.4맑음북창원20.7맑음양산시20.8맑음보성군14.9맑음강진군맑음장흥맑음해남12.5맑음고흥15.7맑음의령군18.3맑음함양군15.2맑음광양시16.0맑음진도군11.3구름조금봉화12.7맑음영주15.0맑음문경15.1맑음청송군15.4맑음영덕13.5맑음의성17.6맑음구미16.5맑음영천17.5맑음경주시17.5맑음거창14.4맑음합천18.9맑음밀양19.3맑음산청16.2맑음거제18.5맑음남해18.2맑음북부산20.0
  • 2025.04.28(월)

일상&문화가볼만한곳.책.문화

전남산림연구원, 나무심기로 경관숲 조성

- 연구원 뒤 식산에 호랑가시나무·홍가시나무 등 420여그루 -

27021247509yt8Y.jpg

 

27021304836LEni.jpg

 

전라남도산림연구원(원장 오득실)은 도민이 더 많이 찾는 명품 숲 조성을 위해 12일 연구원 뒷산에서 남부지역 대표 상록 경관 수목인 호랑가시나무, 홍가시나무 등 500여 그루 나무심기 행사를 했다.

전남산림연구원 전 직원 50여 명이 참석한 나무심기 행사에선 제80회 식목일을 맞아, ‘숲,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약속’이란 의미를 담아 지금까지 산림연구원 시험포지에서 증식한 호랑가시나무 80그루와 홍가시나무 등 420여 그루를 옮겨 심었다.

호랑가시나무는 존엄과 근엄, 미래를 위한 준비, 행복 등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다. 산림연구원과 빛가람 혁신도시, 나주의 넓은 평야가 한 눈에 바라다 보이는 식산 전망데크 일원에 호랑가시나무 숲을 조성해 새로운 연구원의 명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행사에 참석한 박종필 전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제80회 식목일을 기념하고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도 보전하면서 도민이 더 많이 찾는 명품 숲을 조성하는 뜻깊은 행사였다”며 “앞으로도 도민에게 사랑받고 더 많은 분이 찾을 수 있는 명품 숲 경관 조성에 온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전남도산림연구원이 과거 양묘를 중심으로 소득자원 연구를 위해 사용했던 시험포지가 이제는 전남도의 대표적 숲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메타세쿼이아길과 향나무 가로수길은 아름다운 포토존으로 매년 30만 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다.

도민을 위한 명품 공원화 사업을 위해 230억 원의 예산을 투자해, 2027년까지 명품 숲 경관 조성 및 목재누리센터 건립 등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약속을 하나하나 이행하고 있다.

 

빛고을신문-

 
 
검색결과는 총 44건 입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