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박용준열사(투사회보체) - 빛고을신문

  • 구름조금속초12.4구름조금북춘천7.2맑음철원5.5맑음동두천7.5맑음파주4.8맑음대관령9.6구름조금춘천7.2구름많음백령도10.7구름조금북강릉11.4맑음강릉18.4맑음동해12.8맑음서울10.8맑음인천11.9구름조금원주8.6구름조금울릉도12.5맑음수원8.2맑음영월5.8맑음충주7.5맑음서산10.5맑음울진14.0맑음청주12.3맑음대전10.0맑음추풍령5.4맑음안동9.1맑음상주8.3맑음포항14.1맑음군산8.4맑음대구12.3맑음전주12.2맑음울산10.1맑음창원10.2맑음광주12.0맑음부산12.6맑음통영10.8맑음목포11.8맑음여수11.0맑음흑산도10.8맑음완도9.3맑음고창10.2맑음순천5.7맑음홍성7.3맑음서청주8.1구름조금제주13.3구름조금고산10.8구름조금성산11.3구름조금서귀포12.6맑음진주7.7맑음강화8.6구름조금양평8.7맑음이천8.0구름조금인제6.4맑음홍천7.0맑음태백12.0맑음정선군5.2맑음제천4.9맑음보은6.4맑음천안6.2맑음보령12.1맑음부여6.3맑음금산6.7맑음세종8.8맑음부안11.5맑음임실5.9맑음정읍10.9맑음남원8.1맑음장수5.2맑음고창군10.6맑음영광군11.3맑음김해시10.9맑음순창군7.3맑음북창원11.7맑음양산시10.5맑음보성군7.2맑음강진군7.5맑음장흥5.5맑음해남5.6맑음고흥5.4맑음의령군8.0맑음함양군6.0맑음광양시10.5맑음진도군8.2맑음봉화3.5맑음영주6.9맑음문경8.4맑음청송군5.2맑음영덕12.8맑음의성6.5맑음구미8.9맑음영천7.8맑음경주시8.5맑음거창6.2맑음합천9.2맑음밀양9.0맑음산청8.0맑음거제10.1맑음남해9.6맑음북부산8.9
  • 2025.04.30(수)

역사&인물역사적인물살펴보기

박용준열사(투사회보체)

투사회보, 진실을 말하다

 

0003068703_001_20210411213347369.jpg

                                                                                                           박용준 열사

 

 0003068703_002_20210411213347395.jpg

        故 박용준 열사가 필경하여 등사한 「투사회보」
 
투사회보는 1980년 5월, 5·18민주화운동 당시 삼엄한 언론통제 상황에서 왜곡하고 침묵하는 언론을 대신해 광주시민들에게 진실을 알린 소식지이자 대안언론이었다. 투사회보 제작은 당시 노동야학이던 들불야학의 강학과 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문안작성 조, 필경·등사 조, 배포 조 등 역할 분담으로 이뤄졌고 16절 갱지의 양면에 등사되어 1980년 5월 21일부터 26일까지 총10호가 제작되었다. 제10호는 아쉽게도 배포되지 못하였고 계엄군에 의해 전량 수거 폐기되었다고 알려졌다. 당시 피해상황, 집회 일시, 시민 행동강령 등의 내용이 게재되었던 투사회보는 시민들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소식지였고, 앞으로 어떻게 될지 한치 앞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시민들이 자발적인 광주공동체를 만들어 갈 수 있었던 매개체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박용준, 시대의 어둠을 온몸으로 맞서다


7d39ec153fff7dfae8ad8192a84b958c.jpg

 

                                                                                            故 박용준 영정사진(학생시절)

 


당시 광주 YWCA 신협의 간사였던 박용준은 부단한 학구열로 진리와 정의를 탐구하며 기독교정신을 바탕으로 한 이웃사랑을 실천하고자 노력했다. 1980년 5월, 5·18민주화운동이 발발하자 들불야학의 특별강학이던 박용준은 들불야학의 다른 강학 및 학생들과 함께 「투사회보」제작에 관여한다. 박용준이 투사회보의 필경작업을 맡은 것은 그의 헌신성과 함께 그가 글씨를 잘 썼기 때문이다. 박용준은 투사회보 제작이야말로 총을 드는 것에 못지않게 값진 일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1980년 5월 27일, 광주 YWCA에서 최후까지 광주를 지키다가 의로운 죽음을 당했다.
 
 

1956년 7월 9일 출생 1956년 7월 15일 광주영신원 입소 1964년 4월 28일 무등고아원(현 무등육아원) 입소 1968년 2월 서석초등학교 졸업 1968년 3월 숭일중학교 입학 1972년 3월 숭의실업고등학교(현 숭의고등학교) 야간부 입학 1973년 11월 14일 광주YWCA신용협동조합 교도직 입사 1975년 1월 광주숭의실업고등학교 졸업 1978년 7월 들불야학의 특별강학으로 활동, 김영철과 함께 광천(삼화)신용협동조합을 인수하여 지역사회개발사업을 계획함 1980년 5월 5‧18민주화운동 당시 ‘투사회보’의 필경을 담당함 1980년 5월 27일 광주YWCA 2층 창가에서 계엄군의 총격으로 산화(당시 25세) 1997년 국립5‧18민주묘지 안장(묘지번호 2-38)


자료:5.18문화재단. 편집:빛고을신문

 

검색결과는 총 18건 입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