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한창기(韓彰璂) - 빛고을신문

  • 구름조금속초11.9구름조금북춘천7.2맑음철원6.5맑음동두천7.9맑음파주5.8맑음대관령10.1맑음춘천7.8맑음백령도10.8구름조금북강릉11.3구름조금강릉18.3구름조금동해11.1맑음서울11.4맑음인천12.2맑음원주9.7맑음울릉도11.8맑음수원8.9맑음영월6.4맑음충주7.8맑음서산9.0구름조금울진15.3맑음청주13.1맑음대전11.1맑음추풍령6.1맑음안동8.6맑음상주9.3맑음포항14.2맑음군산9.2맑음대구13.1맑음전주11.8맑음울산10.3맑음창원10.5맑음광주12.4맑음부산12.6맑음통영11.1맑음목포11.8맑음여수11.3맑음흑산도11.1맑음완도9.5맑음고창12.1맑음순천6.3맑음홍성9.3맑음서청주8.2구름조금제주13.1구름조금고산11.2구름조금성산13.0구름조금서귀포12.7맑음진주7.8맑음강화9.3맑음양평9.0맑음이천8.8맑음인제7.2맑음홍천8.0맑음태백12.6맑음정선군6.1맑음제천5.4맑음보은7.2맑음천안7.1맑음보령13.5맑음부여7.1맑음금산7.2맑음세종9.3맑음부안11.2맑음임실6.3맑음정읍11.7맑음남원8.6맑음장수5.7맑음고창군9.7맑음영광군12.0맑음김해시11.1맑음순창군8.1맑음북창원12.2맑음양산시10.8맑음보성군8.0맑음강진군8.2맑음장흥6.9맑음해남6.8맑음고흥5.8맑음의령군9.0맑음함양군6.7맑음광양시11.0맑음진도군8.2맑음봉화4.0맑음영주8.0맑음문경8.8맑음청송군6.0맑음영덕15.5맑음의성7.0맑음구미9.5맑음영천8.5맑음경주시9.3맑음거창6.4맑음합천10.0맑음밀양9.7맑음산청8.6맑음거제10.6맑음남해9.9맑음북부산9.7
  • 2025.04.30(수)

역사&인물역사적인물살펴보기

한창기(韓彰璂)

다운로드 (1).jpg

한창기(韓彰璂, 1936년 11월 11일 (1936년 음력 9월 28일) - 1997년 2월 3일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출판언론인.

 

1954년 순천중학교를 졸업하고, 1957년 광주고를 마치고, 서울대 법대에 진학했다. 1961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1968년 1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한국지사인 한국브리태니커회사를 설립했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현대적인 세일즈 기법을 도입하고 마케팅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76년 3월, 한글 전용과 가로쓰기를 앞세운 월간지 뿌리깊은 나무를 창간했다. 한때 정기구독자가 6만 5000명에 달할만큼 최대 발행부수를 자랑했으나 1980년 8월 계급 의식과 사회 불안을 조성한다는 이유로 전두환 정권에 의해 폐간당했다. 1984년 다시 샘이깊은물을 창간했다. 잡지와 책을 통해 한글의 꼴과 쓰임을 다시 디자인했으며, 판소리 음반, 칠첩반상기 제작, 민중자서전 출판 등의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의 토박이 문화를 대중에게 소개했다.


3bf0c89a-3f69-4ce1-987f-a2d339a831b6_XL.jpg

 

다운로드 (1).jpg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으며 1997년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2007년 9월, 글을 모은 책 <뿌리깊은 나무의 생각>, <샘이깊은물의 생각>, <배움나무의 생각>이 출간되었으며, 2008년 2월에는 잡지 형식의 추모집 <특집! 한창기>가 출간되었다. 전남 순천 시립 '뿌리 깊은 나무 박물관'에 고인이 생전에 모은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평촌3길 45)

 

자료참조:위키백과.  편집:빛고을신문

검색결과는 총 18건 입니다.
1